2025년 들어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면서 스테이블코인이 안정적인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변동성이 크지 않으면서도 디파이(DeFi)나 일상 결제에 활용할 수 있는 스테이블 코인. 하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순위가 매일 변동되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8월 기준 스테이블코인 순위 TOP 10을 소개하고, 종류별 특징과 투자 유의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기본 개념과 종류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코인으로, 주로 1달러 가치를 유지합니다. 2025년 현재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약 280억 달러로, 24시간 변동률이 0.7%에 불과해 안정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크게 네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 미국 달러 같은 법정화폐를 예치하고 발행. 가장 안정적이며, Tether(USDT)나 USDC가 대표적. 뒷받침 자산이 은행에 보관되므로 규제 준수가 핵심
- 암호화폐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사용. 과잉 담보(150% 이상)로 안정성을 유지. DAI가 예시로, 탈중앙화가 강점
- 알고리즘형 (Algorithmic) : 스마트 컨트랙트로 공급량을 조절해 가격 유지. Terra의 UST가 실패 사례로 유명. 2025년에는 Ethena USDe처럼 synthetic 형태가 부상 중.
- 상품 담보형 (Commodity-Backed) : 금이나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 담보. 아직 소수지만, 안정성과 인플레이션 헤지로 관심.
2025년 스테이블코인 순위 TOP 10 : 시가총액 기준
2025년 8월 기준,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Tether가 60% 이상 점유하며 독주 중입니다.
순위 | 이름 (Symbol) | 시가총액 (억 $) |
24h 거래량 (억 $) |
종류 | 담보 자산 | 최근 업데이트 |
---|---|---|---|---|---|---|
1 | Tether (USDT) | 1,650 | 1,422 | 법정화폐 담보 | USD | 시장 점유율 60% 돌파, 규제 강화로 안정성 ↑ |
2 | USDC (USDC) | 670 | 118 | 법정화폐 담보 | USD | Circle의 투명성 감사 강화, DeFi 채택 증가 |
3 | Ethena USDe (USDE) | 109 | 5.7 | 알고리즘 (Synthetic) | Synthetic 자산 | 2025년 성장세, 수익 농사 기능 추가 |
4 | USDS (USDS) | 77 | 0.18 | 법정화폐 담보 | USD | Sky Dollar로 리브랜딩, 안정적 성장 |
5 | Binance Bridged USDT (BSC-USD) | 67 | 22 | 법정화폐 담보 | USD | BNB 체인 특화, 거래량 급증 |
6 | Dai (DAI) | 39 | 2.6 | 암호화폐 담보 | ETH 등 | MakerDAO 업데이트로 과잉 담보 강화 |
7 | USD1 (USD1) | 22 | 6.0 | 법정화폐 담보 | USD | 신규 발행 증가, 아시아 시장 확대 |
8 | USDtb (USDTB) | 14 | 0.13 | 법정화폐 담보 | USD | 블랙록 연계, 기관 투자 유치 |
9 | Falcon USD (USDF) | 13 | 0.82 | 법정화폐 담보 | USD | 신흥 시장 타겟, 규제 준수 강조 |
10 | First Digital USD (FDUSD) | 13 | 65 | 법정화폐 담보 | USD | 바이낸스 상장 효과로 거래량 폭발 |
이 순위는 CoinMarketCap과 유사하게 Tether가 압도적 1위를 차지하며, 법정화폐 담보형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2025년 트렌드는 synthetic와 crypto-collateralized의 부상으로, 전체 시장이 전년 대비 20% 성장할 전망입니다.
스테이블코인 투자 시 유의점 : 리스크를 최소화하세요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적'이라는 이름처럼 보이지만, 투자 전에 반드시 확인할 점이 많습니다. 2025년 규제 강화(미국 SEC 등)와 UST 붕괴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 주요 유의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안정성 확인 : 담보 자산의 투명성을 봐야 합니다. USDT나 USDC처럼 정기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는 코인을 우선. 알고리즘형은 공급 조절 실패 위험이 크니 피하세요. (예 : Terra UST 붕괴로 수십억 달러 손실)
- 규제 리스크 : 2025년 EU의 MiCA 규제와 미국의 Stablecoin Act로 법정화폐 담보형이 강화됐습니다. 비준수 코인은 상장 폐지될 수 있으니, Circle(USDC)처럼 규제 준수 기업 발행 코인을 선택
- 탈중앙화 정도 : DAI처럼 DeFi 중심 코인은 탈중앙화가 높지만, 해킹 위험이 있습니다. 중앙화 코인(USDT)은 편리하지만 발행사 신뢰가 핵심
- 수익률과 비용 : 스테이블코인은 보통 1% 미만 수익(스테이킹 등)이지만, Ethena USDe처럼 수익 농사(yield farming)를 제공하는 경우도 거래 수수료를 확인하세요.
- 다각화와 리스크 관리 : 전체 포트폴리오의 20~30%로 제한, 시장 변동 시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유동성 확인, Tether가 금 담보 버전 출시로 다각화
투자 전 CoinMarketCap이나 CoinGecko에서 실시간 데이터 확인 필수!
마치며
2025년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Tether 중심으로 안정 성장 중이지만, 종류와 유의점을 이해해야 성공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TOP 10 순위를 참고해 자신에게 맞는 코인을 선택하세요.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크니, 자신이 직접 자료수집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Tags
금융&투자